본문 바로가기
소비꿀팁단지/생활.zip

원룸 에어컨 청소 비용 꿀팁 | 셀프 청소 | 할인 정보 확인

by 그럼그렇게해 2024. 5. 20.

원룸에 살면서 에어컨 청소를 한 적 없는데 안 해도 괜찮을지,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비용은 집주인이 내는건지 궁금하시죠?

원룸-에어컨청소-비용-셀프-집주인

그렇다면 아래 포스팅 내용에 집중하셔서 궁금했던 부분들을 모두 해소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에어컨 청소를 해야 하는 이유

에어컨을 청소하지 않고 사용하는 분들도 많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원룸이라면 내 에어컨도 아니고, 냄새도 안 나면 굳이 할 필요 있을까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하지만, 에어컨 청소만으로 전기료를 아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여름이 되면 원룸은 특히 좁은 공간이라 덥기 때문에 하루종일 에어컨을 틀어야 합니다.

 

'20년 에너지공단에 따르면 에어컨 필터 청소만으로 전기료를 27%까지 아낄 수 있다고 합니다. 청소를 통해 에어컨 냉방효과를 높이고 그만큼의 에너지도 아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장시간 에어컨을 사용하지 않으면 내부에 세균과 곰팡이가 증식하게 되고, 그 상태로 사용한다면 실내 공기에 좋지 않겠죠.

 

원룸 셀프 에어컨청소 하려면?

에어컨 필터 청소 어렵지 않으니, 아래 단계처럼 꼭 에어컨을 틀어야 하는 여름이 되기 전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1. 에어컨에서 필터를 분리해 칫솔이나 얇은 천으로 먼지를 닦아낸다.
  2. 필터 청소 전용 세제가 있지만, 그게 없다면 베이킹소다와 물을 희석해 세척해 준다.
  3. 깨끗하게 세척한 필터는 바람이 잘 부는 곳에 두고 말려준다.
    이때, 강한 햇볕에 말리게 되면 필터가 변형될 수도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4. 위 방법으로 한 달에 2번 정도는 청소를 해주는 게 좋다.

원룸-에어컨청소-비용-셀프-집주인원룸-에어컨청소-비용-셀프-집주인

또한, 기기 내에 있는 냉각팬 사이사이 먼지가 굉장히 많이 쌓이는데, 이 부분도 청소를 해줘야 합니다. 참고로 냉각팬은 습하기 때문에 균 번식이 더 잘되고, 알레르기를 유발하기도 합니다.

 

필터와 같이 간단하게 아래 단계를 따라 해 보시면, 비용을 거의 들이지 않고 에어컨 청소를 할 수 있습니다.

  1. 전원 코드가 연결된 상태라면 안전하게 코드를 뽑고 청소를 시작한다.
  2. 칫솔, 청소용 솔로 냉각핀에 붙은 먼지나 이물질들을 닦아낸다.
  3. 에어컨 청소용 세정액을 사용해 냉각팬 구석구석 뿌려주고 닦아준다.
  4. 반드시 완전 건조 시킨 후 에어컨을 사용한다.

냉각팬 청소의 경우 간단하게 말씀드렸지만, 분리를 할 수 없고 안쪽 구석구석 쌓여있는 먼지를 닦아내는 것도 쉽지 않은 일입니다.

만약 청소를 자주 해주지 않아 먼지나 노폐물이 많이 쌓여 있다면, 셀프 청소로 무리하지 말고 업체에 맡기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원룸 시스템 에어컨 청소 비용

집마다 견적이 다르지만, 원룸에 살고 있다면 보통 천장에 달려있는 시스템 에어컨이 옵션으로 들어간 경우가 많습니다.

 

제가 사는 곳 역시 천장 시스템 에어컨으로 되어 있는데, 개인 청소 대리인에게 에어컨 청소를 맡겼습니다. 제가 지불한 금액은 4만 원으로 굉장히 저렴한 편이었는데요.

에어컨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청소도 함께 의뢰를 드려서 저렴하게 조정을 할 수 있었습니다. 만약 화장실이나 테라스 등 청소할 공간이 있다면 이런 식으로 비용을 아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직접 물어보니 에어컨 청소 의뢰가 많아지는 여름 시즌에는 비용이 더 늘어난다고 합니다. 즉, 늦어도 5월 안에는 청소를 끝내놔야 최대한 금액을 아낄 수 있을 듯합니다.

 

찾아보니, 현재 미소라는 사이트에서 에어컨 청소 30% 할인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어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 외에도 숨고, 크몽에서도 에어컨 청소 문의를 할 수 있고 천장형 시스템 에어컨 기준 7만 원~9만 원 정도로 가격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끝맺으며,

마지막으로 월세 에어컨 청소 집주인 임차인 누가 부담해야 하는지 정말 애매한 문제이기도 합니다. 애초에 입주할 때 청소가 되어 있으면 좋은데,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죠.

 

보통 간단한 청소에 들어가는 비용은 임차인이 알아서 지불하고 생활하지만, 에어컨 청소는 비용이 비싼 편이라 부담이 됩니다.

 

결국 임대인과의 협의가 필요하고 반반씩 부담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만약 에어컨 자체 결함이 있어 수리가 필요하다면 집주인이 비용을 지불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