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비꿀팁단지/생활.zip

차린이 엔진오일 교체 주기 및 비용, 조금이라도 줄이는 방법

by 그럼그렇게해 2024. 5. 26.

차량을 구매한 뒤 유지를 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엔진오일일 것입니다. 어떤 오일을 넣어야 하는지, 교체는 언제 하는 게 좋은지, 가격은 얼마인지 궁금하실 텐데요.

엔진오일-교환주기-하이브리드-디젤

엔진오일 교체할 때 타이밍과 비용, 차량 유지비를 조금이나마 아낄 수 있는 정보를 통해 내 차량에 적절한 관리를 하시기 바랍니다.

 

엔진오일 교환주기

누구에게 물어보더라도 엔진오일 교환 주기를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내가 운행하는 차량의 엔진 종류, 운전 스타일에 따라 교환주기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통상적으로 엔진오일 교환주기를 알아두고, 그 기간 내에 교환하면 문제가 없을 것이기 때문에 확인해 보시고 감을 잡으시면 좋겠습니다.

가솔린 차량 1만 km, 디젤 차량 1.3만 km, 하이브리드 차량 1만 km 기준이며 기간은 12개월에 한 번 교환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이브리드는 7천 km에 교환하는 분들도 꽤 많으신데, 합성유 중에서도 더 유지력이 좋은 제품을 사용해 교환주기를 길게 가져가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7천 km에 엔진오일을 교환하면 자주 교체 비용이 발생하게 되고 결국 차량가격, 유지비용 모두 많이 들게 되는 꼴이 되어 버립니다.

그래서 합성유로 최대한 오래 쓰면서 교환을 하는 쪽도 고려를 해보시는 게 좋습니다.

 

엔진오일 광유 합성유 차이

엔진오일-교환주기-하이브리드-디젤엔진오일-교환주기-하이브리드-디젤

일반적으로 엔진오일은 광유 및 합성유 두 종류가 있습니다. 광유는 고온에서 불안정하고 교환 주기가 짧다는 단점이 있지만 가격이 저렴합니다.

 

반면 합성유는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지만, 고온에서 강하고 교환주기가 길며, 슬러지 발생도 줄여주는 장점이 있습니다. 여기서 슬러지는 부유물질이 쌓여 침전물이 생기는 것인데요.

이처럼 동맥경화처럼 엔진에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엔진오일을 주기적으로 갈아주는 것이고, 결국 합성유는 이를 줄여주는 장점이 있는 것이죠.

 

단, 광유를 사용하는 경우는 주로 첫차를 구입하고 보통 길들인다고 하는데, 그럴 때 광유를 사용해 짧은 기간으로 교환을 해주고 이후 합성유로 넘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엔진오일 교체비용

그렇다면 엔진오일 교체할 때, 비용은 얼마나 발생할까요? 이 또한 내 차를 들고 정비소로 방문해보지 않는 이상 확답을 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현재 엔진의 종류와 상태에 따라 금액이 달라질 수 있고, 정비소마다 공임비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비용이 달라지는 것이죠.

일반적으로 가솔린, 디젤, 터보엔진 순으로 가격이 더 비싸집니다. 평균 7만 원~10만 원 중반대까지 공임비를 포함해서 엔진오일 교환을 하고 있을 것입니다.

 

차량 유지할 때 이 정도면 괜찮다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조금이나마 금액을 아끼고 싶으신 분들도 계실 겁니다.

 

그런 분들에게는 엔진오일을 따로 구매하셔서 정비소에 공임비만 지불하고 교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물론 정비소에서는 공임비만 받고 해주고 싶지 않은 곳이 많을 것입니다.

친분이 있다거나, 엔진오일 외 수리가 필요할 경우, 또는 직접 연락을 해서 찾아봐야 하지만 가격은 확실히 더 저렴하게 교환 가능할 것입니다.

 

공임나라에서 엔진오일 판매하는 공식 사이트도 있고, 전국 지점도 많아서 참고하실 수 있게 아래 링크 걸어두었으니 정비상담을 받아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끝맺으며,

엔진오일 교환주기 모두의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적으로 교환해야 하는 기간과 교체비용도 참고하실 수 있도록 알려드렸습니다.

 

합성유를 사용한다면 광유보다 더 오래 유지할 수 있어 어느 정도 신차 길들이기가 끝나면 합성유로 유지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