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비꿀팁단지/정부정책.zip

청약통장 25만원 상향, 도움 될까? 나도 해지하는게 좋을까?

by 그럼그렇게해 2024. 6. 21.

청약통장이 월납입 최대 10만 원까지 인정된다는 것은 청약통장을 가지고 있다면 모두가 알고 있을 텐데요. 이 상한 금액이 25만 원까지 높아진다고 합니다.

청약통장-25만원-언제부터-시행-연말정산-소득공제

청약통장 25만 원 언제부터 입금하면 될지, 세액공제는 얼마나 받을 수 있을지 알아보고 절세 혜택과 조금 더 유리한 순위를 만들어 봅시다.

 

청약통장 25만 원 인정금액 상향

청약 인정금액 상향 언제부터 시행될까요? 바로 올해 9월부터는 청약통장 인정금액 상향을 시행하기 때문에 금액을 늘려야 할지 고민이 되실 것 같습니다.

 

청약통장을 활용해 공공분양을 노리고자 한다면 당연히 최대 인정금액으로 넣는 것이 유리합니다. 이와 같은 시행을 하는 이유도 납입금액을 빠르게 늘려 당첨 기회를 주기 위한 조치인데요.

청약통장-25만원-언제부터-시행-연말정산-소득공제청약통장-25만원-언제부터-시행-연말정산-소득공제

올해 1월 뉴홈으로 청약을 했었던 한 서울 지역의 84m² 아파트 일반공급은 청약자의 당첨금액은 2,500만 원이 넘었고, 기간은 21년이 넘어갔었습니다.

 

21년 동안 10만 원씩 매달 금액을 납입해 당첨이 되었다는 것인데 무력감이 들만큼 경쟁이 치열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당첨을 위해 납입 기간을 줄인 개선안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위 사례는 워낙 경쟁이 치열한 분양이었지만, 통상적으로 1,500만 원 정도의 납입금액을 달성해야 당첨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매월 10만 원씩 약 13년 납인한 금액인데, 문제는 납입 회차 및 납입 금액이 높은 사람들이 많다는 점이죠.

 

청약통장 경쟁 더 심해진다?

정책 개선은 긍정적으로 생각하지만, 월 납입 인정금액이 15만 원이나 높아지면서 누군가에겐 매월 저축금액을 증액해야 하는 부담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최대 저축액을 납입하는 사람과 차이가 더 빠르게 늘어날 것이고, 무력감과 허탈감이 드는 분들도 분명히 계실 것 같습니다.

또, 2015년 이전에 청약부금, 예금, 저축 가입했던 분들은 주택청약종합저축으로 재가입할 수 있도록 변경됐습니다. 지금 가지고 있는 통장을 해지하고 새로운 통장으로 재가입하는 것인데요.

 

재가입을 하더라도 기존에 납입했던 금액과 기간은 인정해 주는 대신, 기존에 신청하지 못하던 청약에 신청하려고 한다면 신규 납입 금액부터 인정해 주니 참고하세요.

 

만약 청약예금 가입자의 경우, 민영주택에만 청약을 신청할 수 있는데 통장을 해지하고 종합저축로 신규 가입한 뒤 공공주택으로 청약을 넣었다면 어떻게 될까요?

 

이 경우, 신규로 납부한 실적부터 1회로 간주합니다. 대신 민영주택에 청약을 신청할 때는 기존에 가지고 있던 통장의 실적을 그대로 인정해 줍니다.

 

청약통장 세액공제 얼마까지 될까?

우선 청약통장 세액공제 혜택을 받기 위해선 조건이 필요합니다.

  • 연 총 급여 7천만 원 이하인 자
  • 주택을 소유하고 있지 않은 세대주
  • 무주택확인서를 은행에 제출한 자

무주택확인서는 내년 2월 말까지 은행에서 발급받아 제출하면 되고, 최대 납입 금액 300만 원 내에서 40%를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총금액이 300만 원이라면 한 달 25만 원씩 납입한 금액인데, 최대 120만 원까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습니다. 

 

청약통장 신규 가입자는 줄어들고, 올 5월에만 약 2만 명의 기존 가입자들이 통장을 해지했다고 합니다.

 

내 집마련이 힘든 현실인 것은 사실이지만, 개인적으로 정부의 부동산 대책은 계속 이어질 것이고 어떤 개선안이 나올지 모르는 상황에서 우발적으로 해지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올해에도 금리 높여주고 비과세 혜택도 늘린 청년주택드림 청약통장으로 자동 전환되기도 했고, 부동산은 항상 주요 관심 주제이기 때문에 계속 개선이 될 것이라 기대하고 있습니다.


끝맺으며,

올해 9월부터 늦으면 내년 초부터는 청약통장 월 납입 상한액이 25만으로 늘어나면서 납입 금액을 빠르게 높일 수 있도록 개선이 될 예정입니다.

 

그 외, 이자에 대한 비과세 혜택과 40% 연말정산 소득공제도 받을 수 있고 최대 300만 원 내에서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저축을 조정해 보면서 절세하면 좋겠습니다.